고추 자료실

고추 역사 및 종류

홈   >   고추 이야기   >   고추 역사 및 종류

어디서 왔나요?

  • 중부아메리카가 원산지인 고추는 흔히 오랜 옛날부터 우리 겨레가 먹어온 것으로 알고 있으나 실제로는 17세기 초엽에 전래되었다.
    16세기에 중국에서 발간된 『본초강목(本草綱目)』에는 고추에 관한 언급이 없으며, 일본의 『초목육부경종법(草木六部耕種法)』에는 1542년 포르투갈 사람이 고추를 전하였다고 기록되어 있다.
    우리나라의 『지봉유설(芝峯類說)』에도 고추가 일본에서 전래되어 왜겨자(倭芥子)라고 한다는 기록이 있는 것으로 보아, 일본을 거쳐 우리나라에 전해진 것으로 추측된다.
    그러나 일본측 기록인 『대화본초(大和本草)』·『물류칭호(物類稱呼)』 등에는 우리나라에서 전래된 것이라고 하고, 『화한삼재도회(和漢三才圖會)』·『본초세사담기(本草世事談綺)』·『성형도설(成形圖說)』 등에는 우리나라 혹은 남만에서 온 것이라 기록되어 있다.
    이러한 기록들을 종합해보면 고추가 일본에 먼저 전래되었고, 우리나라에는 일단 일본을 통하여 들어왔으나, 중국에서 들어온 새로운 품종과 일본에서 들어온 품종, 그리고 우리나라에서 육성된 품종들이 서로 교류되어 오늘에 이르렀다고 할 수 있다.

고추의 어원

  • 우리나라에서는 고추는 남만초(南蠻椒), 번초(蕃椒), 왜초(倭椒), 왜개자(倭芥子), 고초(苦椒) 등 여러 이름으로 불렸다.
    국내 문헌 중 고추에 대한 최초의 기록인 『지봉유설(芝峯類說)』에는 고추가 남만초(南蠻椒), 왜개자(倭芥子)로 기록되어 있다.
    남만초는 남쪽 오랑캐 땅(南蠻)에서 온 매운 맛의 초피나무(천초)와 비슷한 것이라는 의미로 사용되었다.
    왜개자는 왜국을 거쳐 도입된 고추가 겨자(芥子)같이 매운맛이 있다는 뜻에서 유래된 말이다.
    『조선왕조실록(1768, 1832)』에 고추가 고초(苦椒)로 기록된 이래 일반적으로 사용되었다.
    보통 苦는 '쓰다'라는 뜻이나 여기에서는 '매워서 열이 난다'라는 뜻으로 사용되었다.
    오늘날의 ‘고추’는 ‘고초’가 비어두 음절에서 산발적으로 일어난 ‘ㅗ>ㅜ’ 변화를 경험한 것이다.

홍고추/건고추의 종류와 이용

  • 고추는 서로 다른 품종이 바람에 의한 수정으로 쉽게 교잡종을 만들기 때문에 전세계로 전파되는가운데 수많은 품종이 생겨났다. 우리나라의 농가에서도 해마다 다양한 종자를 심어왔기 때문에 지방에 따라 여러 품종이 생겨나서 약 100여 종 이상에 이르고 있다.
    국내 주요 고추 품종은 이용면에서 홍고추용, 풋고추용, 절임용, 향신 및 관상용으로 분류하는데 현재 홍고추로 재배하는 대표적인 품종은 고은, 마니따, 왕대박, 홍초왕, 국보, 부강 등으로 재배가 용이하고 생산성이 높으며 소비자들의 선호도가 좋아 시장에서 높은 가격을 받을 수 있는 품종이다.
    홍고추는 생과로 생채, 무침, 김치 등 다양하게 활용되고, 건고추로 가공하여 고춧가루로 만들어 유통, 소비된다. 고춧가루는 김치, 고추장, 가공식품 등 다양한 요리 무궁무진하게 사용된다.

고추의 효능

  • 매콤하게 맛있는 다이어트 식품고추의 매운 맛 성분인 캡사이신은 갈색 지방을 활성화하여 몸을 따뜻하게 하고 에너지 소비와 소화를 활발하게 한다.
  • 심폐 기능 강화하는 캡사이신캡사이신은 산소 운반과 호흡 순환 기능을 높여 심폐 기능을 강화하고 지구력을 높여 준다.
  • 피로회복과 스트레스 해소를 한 방에고추는 사과의 20배, 귤의 2~3배에 달하는 비타민C를 함유하여 피로회복을 돕고 캡사이신은 엔도르핀을 분비하여 스트레스 해소 효과가 있다.
  • 암을 예방하는 푸드 백신캡사이신은 암세포의 생성과 증식을 억제하고, 고추의 항산화성 성분으로 활성산소를 없애 암 예방을 돕는다.
  • 피곤한 눈을 위한 필수품홍고추 속의 풍부한 비타민A는 노화된 세포 재생을 돕고 위와 장 점막을 보호하는 것이 특징이며 눈 건강에도 좋다.

*출처: 작목기술정보(농사로 농업기술포털), 고추재배전서(경상북도농업기술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